안녕하세요.
파더와이즈 인테리어 디자인그룹입니다.
오늘은 쉬어가는 의미에서
리빙 디자인 트렌드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리빙 제품들은 월세, 전세 등 집을 못 꾸미는 상황에서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는 것들입니다.
또한, 많은 분들이 만들고 싶어 하는
예쁜 홈카페(Home cafe), 홈바(Home bar)는
인테리어와 리빙 제품의 조화가 중요합니다.
인테리어를 예쁘게 하고, 리빙 제품을 신경 안 쓴다면
만족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 내지 못하겠죠.

리빙 시장 경향

리빙 제품에서 소비자가 집중하는 건 실용입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주방용품에서 더욱 도드라지는데요.
말하자면, 소비자들은 현실적으로
정말 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찾는 것입니다.
리빙 시장은 계속 늘고 있는 1인 가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제품군의 차이보다는 패키지의 차이가 돋보이는데요.
예전에는 6인, 4인 가족 중심이었던 패키지들이
점점 2인, 1인 패키지로 축소되고 있습니다.
최근 주목하는 경향은 “가격 양극화”입니다.
저가 제품이나, 아예 고가 제품 위주로 팔리고 있습니다.
대체로 중간 가격대의 제품군이 인기가 없어지고,
그래서 중간 가격대의 제품의 생산을
잘 안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0 리빙 트렌드

소품의 차별화
사람들이 다양한 정보와 소식을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요즘.
사람들의 인테리어, 리빙에 대한 미적 감각은
이전 세대보다 상향 평준화되었습니다.
기능성 제품이나 교체 주기가 긴 제품보다는
작은 소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큽니다.
이러한 작은 소품들로 공간을 꾸미면서
개개인의 개성을 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제품의 형태와 장식 또한 그만큼 다양해질 것이다.
기능을 담은 디자인
소비자들은 예쁘면서 실용적인 물건을 찾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니즈를 직관적으로 자극하는
콘텐츠가 지속적인 관심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소비자가 느끼는 문제점을
깔끔하게 해결해 줄 수 있는 제품은
계속해서 생산, 판매로 이어질 것입니다.
로컬리즘
예전엔 지역 문화를 알리기엔 확산 속도가 더디었다.
하지만 이제는 SNS를 통해서
전 세계와 소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 문화 등
정보의 확산 속도는 더욱 빨라졌고,
이러한 종류의 제품을 구매한 고객들은
더욱 대담한 제품들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차별화된 지역 제품으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한 제품들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리빙 제품, 시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파더와이즈 인테리어디자인 그룹은
다음 주에 더욱 도움이 되는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